[앵커]<br />현재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적 위험 요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우리 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비선 실세 최순실 사태입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을 풀어가야 할 국정 동력을 상실한 것이 무엇보다 큽니다.<br /><br />이대건 기자와 함께 자세히 얘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과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선 어느 때보다도 국정의 힘을 집중시켜는 게 중요할 텐데요. 지금 상황은 그렇지 않은 것 같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한 것은 이번 최순실 사태가 낳은 가장 안 좋은 결과입니다.<br /><br />비선 실세라는 말은 곧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 이미지와 연결되고, 불통 이미지는 또다시 "장관들의 대면 보고가 얼마나 자주 이뤄졌는지?" 와도 이어집니다.<br /><br />현재 경제 현안들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경제 수장인 부총리가 대통령과 얼마나 자주 논의를 했는지가 관심이었습니다.<br /><br />사태가 터지기 전에도 대면 보고 자체가 자주 있지는 않았는데, 이번 사태 이후 더욱 위축됐습니다.<br /><br /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일) : 우리 부총리는 대통령에게 얼마 만큼 경제 상황에 대해서 대면 보고를 하십니까?]<br /><br />[유일호 / 경제부총리 (지난 1일) : 뭐…몇 차례 했습니다.]<br /><br /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일) : 최근에 한 게 언제죠?]<br /><br />[유일호 / 경제부총리 (지난 1일) : 한 달이 넘었던 것 같습니다.]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래도 경제 부총리인데 대통령에게 직접 대면 보고한 게 한 달이 넘었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데요.<br /><br />앞으로는 임종룡 부총리 내정자가 여러 경제 현안들을 챙기게 될 텐데, 현안이 한둘이 아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들 정도로 경제 현안들이 산적해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제 현안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이미 1,2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부채입니다.<br /><br />연말이 되면 1,300조 원을 넘어서고 내년 말에는 1,500조 원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추세라면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3년부터 내년 말까지 5년 동안 가계 부채 증가액은 4백96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난 노무현 정부 당시 2백조 7천억 원, 이명박 정부 때는 2백98조 4천억 원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현 정부 5년 동안 증가액이 과거 두 정부 10년 동안 증가액과 맞먹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2014년부터 추진한 부동산 완화 정책입니다.<br /><br />임종룡 경제 부총리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110716553509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